급발진 의심 신고 68% 줄었다…TS, 조사·예방 대응역량 높여

2020년 25건→2024년 8건
고령 운전자 페달 오조작 대응 강화
윤서진 기자 2025-04-11 14:49:18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가 5년 새 68% 감소했다. 한국교통안전공단(TS)이 사고조사 기술을 고도화하고 예방 대책을 강화한 결과다.

10일 TS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자동차리콜센터에 접수된 급발진 의심 사고는 총 111건으로, 2020년 25건에서 2024년 8건으로 크게 줄었다.

공단은 사고 발생 시 기술 분석과 실차 확인 조사를 통해 차량 결함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경찰 등 유관기관 요청 시 현장 조사에 참여해 사고 원인 규명을 지원하고 있다.

사고조사 역량도 대폭 강화됐다. 공단은 사고 영상과 주행기록데이터를 정밀 분석할 수 있는 사고분석 전용 프로그램(K-AI)을 개발해 2023년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오는 5월부터는 사고기록장치(EDR)의 기록 항목도 기존 45개에서 67개로 확대된다. EDR은 사고 발생 시 충돌 전후 차량 거동 상태를 기록하는 장치로, 사고 원인 분석에 핵심적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급발진 사고의 상당수는 차량 결함이 아닌 운전자의 페달 오조작이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급발진으로 의심된 사고 중 다수가 페달 잘못 밟기로 발생했으며, 특히 고령 운전자 비율이 높았다.

이에 따라 공단은 운전자 실수로 인한 사고 예방 대책도 강화하고 있다. 올해부터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에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평가 항목을 신설해 자동차 제작사의 관련 기술 개발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 가속페달 바닥 매트 걸림이나 외부 물체 끼임으로 인한 의도치 않은 가속 상황에 대비한 비상 대응 요령도 마련했다. 제동 페달을 지속적으로 밟거나 전자식 주차브레이크(EPB)를 작동시키는 방법이 권장된다.

TS 정용식 이사장은 "급발진 의심 사고에 대해 과학적이고 신뢰성 있는 조사부터 예방 대책 마련까지 최선을 다해 국민 불안을 해소하고 안전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