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철강산업 위기에 경북 포항시 28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2027년까지 2년간 특별자금대출 등 각종 지원
지역 내 수행기관 선정해 인력양성 등 지속 발전도 모색


이한별 기자 2025-08-28 18:39:05
▲포항 철강산업단지 내 한 공장 야적장에 철강 제품들이 쌓여 있다.

경북 포항시가 28일 정부로부터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글로벌 공급 과잉과 미국발 고관세 등으로 포항의 철강업계가 유례없는 위기를 겪고 있다는 진단에 따른 것이다. 포항 철강업계는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과 더불어 특별법 제정을 통한 특단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를 거쳐 경북 포항시와 충남 서산시를 2027년 8월 27일까지 2년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 공고한다"고 밝혔다. 포항과 서산은 지난달 18일 각각 지역 주력산업인 철강과 석유화학의 현저한 악화가 우려된다며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한 바 있다.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정부는 포항의 철강업체에 긴급경영안정자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금융 등을 지원한다.

포항 철강업계는 최근 심각한 위기를 맞았다. 중국산 철강이 덤핑 수준으로 국내에 쏟아지면서 조강 능력이 해마다 줄고 있다. 포스코의 철강업이익률도 크게 떨어졌다.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철강 생산량이 줄어들고, 현대제철 포항공장은 폐쇄를 눈앞에 두고 있다. 철강업계의 위기는 포항 경제에 직접적인 충격을 주면서 도심 상권마저 흔들리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이 철강업계를 회생시키는 마중물이 되기를 포항 시민들은 강력히 바라고 있다. 여기에 국회에 계류 중인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철강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인 이른바 'K-스틸법'의 조속한 제정을 요구하고 있다. 한시적 자금지원을 넘어 기업이 스스로 일어설 수 있는 보호조치 또는 신기술 개발 지원 등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특별법 제정이 우선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세계 철강 수요 둔화, 보호무역주의 확산, 미국의 고율관세 부과 등으로 직격탄을 맞은 포항 철강기업과 협력업체들의 어려움을 선제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조치로 시민과 지역기업이 발 벗고 노력해 이뤄낸 결실"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철강산업의 구조전환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특별법 제정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